[문화재]113 노은동선사박물관 개관(3월29일) 2007. 3. 31. 2007 안산산성제 2007 안산동산성제 일시: 2007년 3월 1일(목요일) 11:00~14:00 장소: 안산동산성(유성구 안산동 산 40-42) * 안산동 어둔리에서 풍물단을 따라 산성에 오르고 있다. * 산성에서 바라본 조치원 가는 길-- 먼 옛날 적군이 오는지 잘 볼수 있었을 것 같다. *산성제 지내기 전에 -- 우리춤 * 산성제 (진동규 구청장님, 임.. 2007. 3. 5. 문지동 화봉산,우성이산으로의 성묘 산소에서 가장 가까이 살고 있고 화봉산 산행을 잘 하는지라 명절 때는 성묘를 잘 가지는 않는데 오늘은 모처럼 만난 친척들과 다녀왔다. 전력연구원 뒤쪽에서 대덕터널까지 대부분이 신창노씨 산소이다. 개발 전 문지1구는 신창노씨 집성촌이었다. 할머니 산소에서 바라본 재각 재각 입구 신창문 문.. 2007. 2. 18. 여러각도의 위왕산 모습 삿갓집에서 본 위왕산 방동 나뭇골 마을의 서쪽에 있는 마을로써, 옛날의 기성면(杞城面)과 두마면(豆磨面), 진잠면(鎭岑面)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유래〕옛날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해 전라도와 경상도, 그리고 충청도 이남에서 한양으로 올라가던 세 선비가 이곳의 한 집에 함께 묵게 되었다고 한다.. 2007. 2. 16. 부여 금동대향로.. Dsc03249.jpg1.74MB 2007. 2. 4. 고인돌과 기성관 <진잠> 2006. 12. 29. 문지동의 문화재종합병원 기공식 문지동의 국립문화재연구소 옆에 문화재종합병원 신축공사 기공식이 있었다. (대덕터널 지나 전력공사 연구소 앞에 위치) 극단 우금치와 함께한 지경다지기 참석자도 같이 한 자리였다. 문화재 종합병원.. 문화재 보수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2006. 12. 5. 외도에서 기분좋은 한나절을 보내다. 2006. 11. 18. 경주에서.. 경주 대명리조트에서 찍은 보문호의 분수 -- 무지개 양동민속마을에서 경주 안압지를 9년만에 갔다. 또 이만큼의 세월이 지나야 가려나... 무지 피곤해 보이는 .. 오래전엔.. 2006. 11. 13. 경주... ‘으뜸문화재지킴이대축제’의 ‘모범지킴이’ 가 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귀하는 문화재청과 히스토리채널이 공동 주최하는 ‘으뜸문화재지킴이대축제’ 에서 타의 모범이 되는 문화재 지킴이 활동으로 ‘모범지킴이’로 당선되셨습니다. 2006. 10. 31. 국화.. 옆집에서 선물 받은 국화 배란다에 국화향 가득... 2006. 10. 27. 유성온천수신제 오늘 10시부터 홍인호텔 옆 온천탑앞에서 유성온천수신제를 지냈다. 학을 상징하는 온천탑 수신제의 초헌관이셨던 진동규 구청장님 2006. 10. 25. 문화유성 9월호 2006. 9. 6. ● 유성구 세동 유성 대표 특산물 유성배, 학하 고구마, 세동 상추 2006. 8. 25. 계곡이 너무 좋은 강아지 상세동 보건소 앞 계곡의 강아지 너무 귀여웠다. 2006. 8. 25. 여러각도에서 찍은 구암동 왕가봉 2006. 8. 18. 대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대전 서구 괴곡동에는 650년이 넘은 느티나무가 있다. 마을 주민들은 봄에 돋는 새 잎을 보고 한꺼번에 피면 풍년을 층층이 피면 흉년을 예견하기도 하였다한다. 매년 음력 칠월칠석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거리제를 지내고 있다. 아쉬운 점은 보호수로 보호를 받고 있지만 옆에 철로가 있고.. 2006. 8. 7. <달려라 실버포장마차>와 관련 7월 행사 2006. 7. 29. 문화유성 8월호 2006. 7. 29. 유성구 교촌동에서 칠석날지내는 칠성제 구경가세요.. 유성구 교촌동으로의 하루 나들이 8월 31일은 칠석이다. 이날 유성구의 교촌동에서는 마을 공동우물에 칠성제를 지내는 날이다. 오전 9시경부터 준비하고 10경에 지낸다고 한다. 유성구도 개발이 많이 되어 이런 전통이 많이 사라졌지만 아직도 마을사람들이 동네를 위해 제를 지낸다니 더 의미가 있는.. 2006. 7. 24. ● 유성구 복용동(伏龍洞) 7월 29일자 <문화유성 8월호> 복용동 관련기사 참조 2006. 7. 23. ★ <김반.김익겸의 묘> 찾아가는 길 먼저 대전 유성구 전민동까지 온다. 전민동의 엑스포코아(성당) 사거리에서 동사무소 방향으로 가면 된다. 동사무소 지나고 계속 직진하다보면 맞은편의 삼성푸른아파트가 끝나고 한의학연구소가 나온다. 바로 이 건너편에 입구 표지판이 도로가에 있다. 마을버스 1번(한빛아파트<유성구청> ~유.. 2006. 7. 18. ● 유성구 성북동에서 마을조사 동네 어르신의 도움으로 옛길 걷기 과거 신도안과 두계쪽에서 진잠으로 가기위해서 이 길을 지나 성북산성을 넘어야했다. 금수봉을 바라보며 금곡천에서 금곡천 상류에서 사금이 많이 나왔으므로 금을 케는 계곡이라 금곡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 이 물은 방동 저수지로 흘러간다. 느티나무 재기 .. 2006. 7. 9. 수운교 지붕 교체식 유성구 추목동(자운대)에 있는 수운교 도솔천의 지붕 교체식이 오늘 있었다. 도솔천은 1929년 경복궁을 지은 최원식에 의해 건축되었다. 2006. 7. 7. 문화유성 7월호 2006. 6. 30. 상신리에서 바라본 계룡산 삼불봉 상신리 도예촌의 소여공방 박우진님의 거실에서 찍은 계룡산 삼불봉 앞에 보이는 파라솔모양으로 기른 은행나무 그동안 키 큰 은행나무만 봤는데.. 영화 out of africa에 나오는 멋진 소나무가 연상되는 이유는? 이 곳은 후소도예 윤정훈님의 2층 공방에서 찍은 삼불봉 삼불봉에서도 선생님 공방이 보인.. 2006. 6. 16. 유성구 덕명동 유성구 덕명동 1.한밭대학교 2.유스호스텔 본관(계산동) 이 건물 바로 앞 운동장은 덕명동 3.복용승마장 (이지역이 복용동에 속했었다.) 4.수통골에서 바라본 도덕봉.옥녀봉 5.한밭대학교 들어가는 입구의 배(船). 사실 덕명동은 배(梨)로 유명한데.. ♣ 그리고 누구나 다 알고있는 수통골.유성컨트리클럽.. 2006. 6. 13. 화봉산에서 탱자가 달렸네요. 이건 망개라고 했던것 같은데.. 2006. 6. 12. 두계 사계고택 (은농재) 2006. 6. 3. 계룡산분청사기 축제 사진 계룡산 분청사기 축제 장작 가마불 피우기 외부 참여작가 자기 제작 행사 주무대 -- 서쪽으로 배치되었고 공연은 대부분 오후 시간대여서 덥고 햇볕때문에 앉아있을 수... 입구부터 외부 참여작가 천막 부스 위쪽 천막 부스 -- 주말에서 관람객 적었음 도자기 체험장 상신리에 거주하는 개.. 2006. 5. 27. 이전 1 2 3 4 다음